눕기 고수

내가 해냄 ^^* ! 인슷하 눌러줘요 헿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가 실망하는 주인의 행동 3가지

Aaawesom 2023. 4. 25. 07:01
728x90

1. 잘못된 애정표현

과한 애정표현과 꽉 끌어안기입니다.

이러한 행동을 했을 때 강아지는 붙잡혔다는 것으로 인식하고 압박을 느끼고 매우 불편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주인이 과도한 표현을 하면 강아지도 좋아할 것이라는 것은 착각입니다! 

 

강아지가 자거나 육체적으로 피곤할 때에 보호자가 과도한 애정표현을 하고 꽉 끌어안는 행동을 보인다면 실망할 것입니다. 바람직한 애정표현은 적당함입니다! 편안하게 머리를 쓰다듬거나 누웠을때 배를 보인다면 쓰다듬어주고 강아지가 좋아하는 부위를 부드럽게 만져주세요. 강아지도 본능적으로 안정적인 것을 좋아하니 안정적인 환경과 애정표현을 한다면 편안함을 느끼고 주인에게 실망하는 일은 없을 것 입니다!

그리고 갑자기 큰소리나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반려견은 감정이 있는 동물임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갑자기 보호자의 행동에 폭력성을 띄우면 강아지도 공포를 느낍니다. 큰소리와 폭력적인 행동으로 대한다면 극도의 불안감과 공포심을 느끼게 되고, 특정행동에 트라우마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예시로, 강아지가 소변을 잘못된 장소에 실수를 했을 때 보호자가 소리를 지르면서 체벌을 한다면 강아지는 그 때를 기억하고 보호자가 없는 곳에서만 소변을 하려하고 억지로 참으며 힘들어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일시적으로는 폭력적인 행동이 통하는 것 같아도 강아지는 보호자가 자신을 지켜줄 수 없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오히려 강아지가 자신을 지키려고 보호자를 공격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큰소리와 폭력적인 행동은 피해주시기 바랍니다. 강아지를 교육시키시고 싶으시다면 더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방법이 많습니다.

 

2. 무관심

과도한 애정표현을 줄이려다 무관심으로 이어져선 안됩니다. 보호자를 따르는 강아지들은 항상 사랑을 받으려는 마음이 본능적으로 깔려있습니다. 하지만 보호자가 지속적으로 무관심한 태도를 보인다면 강아지는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며 우울해 할 수 있습니다. 어느순간 평소보다 무관심으로 강아지에게 대한다면, 급격한 변화로 상실감과 스트레를 받아서 강아지도 우울증이 올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집안에 아기가 태어나거나 다른 아기강아지가 오는 경우입니다. 보호자님의 관심이 줄어들 수 밖에 없는 환경에서 강아지는 우울감을 느끼고 식욕이 줄어들고 건강까지 지장이 올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과도한 애정표현과 무관심은 극단적인 행동이므로 피해주시고 반려견에게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애정표현을 하면서 꾸준히 관심과 사랑을 준다면 건강한 강아지와 함께 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강아지 혼자두기

현대사회에 들어서 1인가구가 늘어나고 1인가구에서도 반려견을 키우는 경우가 급증하였습니다. 강아지는 옛부터 사회적인 동물로 알려져있습니다. 감정을 교류하고 의지하며 살아가는 동물입니다. 우리가 문을 닫고 외출하는 순간부터 강아지는 집안에 혼자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우리의 반려견들은 세상의 전부가 여러분입니다. 오랜시간동안 집에서 나가서 돌아오지 않는다면 버림받았다고 크게 실망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오랜시간 동안 외출해야한다면 외출 전에 산책을 꼭 해주시길 바랍니다. 미리 산책을 해두면 보호자가 외출한 시간동안 강아지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을 갖을 수 있으니까요. 또, 안전하고 간단한 노즈위크를 만들어 주세요. 외출한 시간동안 혼자서도 재미있게 놀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방법도 있습니다. 펫시터를 고용하시거나 지인에게 맡기는 방법도 있습니다. 또 강아지 유치원을 등록하여 사회성을 기르는 기회를 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혼자두지 않고 보호자와 함께있는 것입니다.

 

반응형